겨울철에는 도로가 결빙되거나 눈이 쌓이면서 미끄럼 사고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겨울철 안전한 운행을 위해 타이어의 공기압, 트레드 상태, 교체 시기 등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유지
겨울철에는 공기압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기온이 낮아지면 타이어 내부의 공기 분자가 수축하면서 공기압이 자연스럽게 감소합니다. 보통 기온이 10도 하락할 때마다 타이어 공기압은 약 1 PSI씩 감소하는데, 이를 방지하면 연비 저하와 미끔럼 사고 위험이 커지게 됩니다.
적절한 타이어 공기압 체크 방법
- 차량 제조사가 권장하는 적정 공기압을 확인한 후 겨울철에는 약 2~3psi 더 높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정 공기압 확인 = 보통 운전석 문을 열면 시트 부분에 차대번호와 차량 스펙, 적정 공기압 정도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한 달에 한 번 공기압을 점검하고 장기리 운전 전에는 반드시 체크합니다
- 공기압이 낮아졌다면 가까운 정비소나 타이어 가게에서 무료로 공기압을 보충합니다
2. 타이어 트레드(홈) 깊이 점검
타이어 트레드가 마모되면 제동력이 저하됩니다
트레드 깊이가 충분하지 않으면 배수 기능이 약해져 빗길, 눈길에서 미끄러질 확률이 높아집니다. 겨울철 도로에서는 최소 3~4mm 이상의 트레드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어 트레드 점검 방법
- 100원 동전을 타이어 홈에 끼워 넣었을 때, 이순신 장군의 감투가 반이상 보이면 타이어를 교체해야 합니다
* 트레드가 얕아지면 눈길에서 미끄럼 방지 기능이 급격히 저하됩니다.
* 타이어 마모 상태가 고르지 않다면 자동차 얼라인먼트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니 가까운 정비소에서 꼭 점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3. 겨울용 타이어 교체 시기
겨울철에는 사계절용보다 겨울용 타이어(스노우타이어)가 안전합니다
일반 타이어는 기온이 7도 이하로 내려가면 고무가 딱딱해지며 접지력이 떨어집니다
반면, 겨울용 타이어는 추운 환경에서도 유연성을 유지하고 접지력이 높아 눈길과 빙판길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타이어는 4개 모두 교체해야 할까?
일부 운전자는 앞바퀴 또는 뒷바퀴만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지만 이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 모든 타이어를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앞바퀴만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면 뒷바퀴가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당연한 이야기^^)
- 뒷바퀴만 교체하면 핸들 조작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결국, 4개 모두 교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겨울철 타이어 관리로 안전운전 필수
겨울철에는 빙판길과 눈길로 인해 미끄럼 사고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공기압 유지, 타이어 트레드 점검, 겨울용 타이어 사용 등 철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델Y 주니퍼, 실구매가 4천만원대! 가격/보조금/출고일정 총정리 (0) | 2025.04.04 |
---|---|
기아 K9 풀체인지 예정, 제네시스 G80과의 경쟁 분석 : 플래그십 세단 시장의 트렌트 분석 (1) | 2025.01.22 |
전기차 모델과 인공지능(AI) : 테슬라 부터 현대 까지 브랜드별 상세 사례 분석 (2) | 2025.01.22 |
제네시스 GV80 가장 타고싶은 SUV 1위 (1) | 2022.12.23 |
현대 그랜저 신형 풀체인지 GN7 자동차 구매정보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