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키오스크 설치비,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으로 얼마까지 지원되나?

by 카일Kyle 2025. 4. 14.
반응형

 

 

 

 

 

 

 

 

 

 

디지털 전환을 원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키오스크 설치를 고려하는 사업자라면 해당 사업을 통해 설치비의 최대 70%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다.

 

 

 

 

 

스마트상점 지원사원이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소상공인의 매장 운영 효율화디지털 환경 대응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주요 지원 항목으로는 키오스크, 디지털 사이니지, 테이블오더 시스템 등 스마트기기가 포함된다.

 

 

 

 

 

지원금 규모는?

 

지원금은 총 설치비 기준 70% 이내로,

최대 500만 원 수준까지 지원된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설치에 총 450만 원이 소요될 경우,

자부담 135만 원으로 사업자가 감당하고, 나머지 315만 원은 정부가 지원한다.

 

단, 최종 지원금은 기기 종류와 예산, 선정평가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제 사례로 본 지원 규모

 

 

서울 성북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A 씨는

2024년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을 통해 키오스크 1대를 도입했다.

설치비는 약 480만 원이었으며,

최종 332만 원을 지원받고 자부담은 약 148만 원 수준이었다.

 

또 다른 사례로, 인천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B 씨는

디지털 테이블오더 시스템 설치에 약 520만 원이 들었고,

350만 원 가량을 지원받았다.

 

 

 

 

 

신청 조건 및 절차

 

  • 지원 대상: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 중인 소상공인
  • 사업자등록증 보유 필수
  • 매장 실사 및 심사 후 선정 여부 결정

 

신청은 소상공인마당에 등록된 공고를 통해 접수 가능하며,

지역 소진공 센터를 통해 세부 일정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sbiz24.kr/#/

 

소상공인24

 

www.sbiz24.kr

 

 

 

 

 

 

유의사항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 동일 매장으로 중복 신청 불가
  • 자부담 금액은 업체에 따라 선납 요구가 있을 수 있음
  • 설치 이후 증빙자료 및 사업 완료보고 필요

 

 

 

 

 

 

요약

 

항목 내용
지원비율 최대 70%(자부담 30%)
지원한도 약 500만 원 이내
대상 매장 운영 중인 소상공인
신청방법 소상공인마당 홈페이지 접수
사례 키오스크 480만원 중 332만원 지원 사례 등

 

 

2025.04.12 - [정보] - 2025년 스마트상점 지원사업, 소상공인이라면 지금 꼭 챙겨야 할 이유

 

2025년 스마트상점 지원사업, 소상공인이라면 지금 꼭 챙겨야 할 이유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이 2025년 다시 시작됩니다. 신청 조건부터 지원 내용, 선정 기준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지금,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을 알아야 하는 이유  2025년에도 소상공인을 위한

kylestory.com

 

2025.04.10 - [정보] - 2025년 소상공인 지원 핵심 정리! 스마트상점,경영개선,온라인 판로 까지

 

2025년 소상공인 지원 핵심 정리! 스마트상점,경영개선,온라인 판로 까지

"2025년, 정부는 약 10조 원 규모의 긴급 예산을 편성하며 소상공인, AI, 수출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원정책을 발표했습니다.특히 소상공인을 위한 스마트상점 보급, 온라인 판로 개척, 경

kylestory.com

2025.04.06 - [정보] - "금융감독원 무료 재무설계 상담! 부채, 노후 고민 해결되는 꿀팁"

 

 

"금융감독원 무료 재무설계 상담! 부채, 노후 고민 해결되는 꿀팁"

요즘 같은 고금리 시대, 재무 고민이 많으실텐데요,최근 금융감독원에서 누구나 무료로 받을 수 있는 '1:1 재무상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부채관리, 현금흐름 분석, 노후 설계, 투자 포

kylestory.com

 

반응형